1. 사진기는 빛을 담는 장치이니만큼 빛을 제어하는 장치들이 구비되어있다.
사진기에 빛을 담으려면 얼만큼의 빛의양을 얼마나 오랜시간 통과시켜 담느냐 하는 요령과
표적이 되는 대상의 어느부분을 얼만큼의 크기로 담을것인가 하는 구도의 요령이있다.
2. 빛의 총량은 열린 창문의 크기와 열어놓는 시간에 달려있다.(노출)
3. 셔트 : 평소에는 닫혀있다가 잠깐 창문을 열어 빛을 통과시키는 장치이다.
셔트속도는 보통 30초 ~ 1/8000초 정도로 조절이 가능한데 벌브(BULB)라 하여 계속 원하는만큼
열어놓을수있는 모드가 있다.
30초 ... 2초 , 1초 , 1/2초 , 1/4초 , 1/8초 , 1/15초 ........ 1/250초 .... 1/8000초
4. 조리개 : 열렸을때 창문의 크기를 조절한다. ( 반쯤 열것인지 완전히 열것인지 )
일반적으로 조리개는 1.2 ~ 22 정도의 범위에서 조절이 가능하다.
* 창문을 1/1.2 ~ 1/22 만큼만 연다고 기억하면 편하다 ( 숫자가 클수록 구멍이 작다 )
1.2 , 1.4 , 2 , 2.8 , 4 , 5.6 , 8 , 11 , 16 , 22 .......
5. 조리개의 한계는 렌즈의 종류와 특성에따라 다르다.
최고로 열었을때 얼만큼 열수있느냐 하는것이 렌즈의 F값으로 렌즈의 지름이 크면 이 값이 작아진다.
즉 F2.8 보다는 F1.4인 렌즈가 구경이 크고 밝고 그만큼 비싸다.
이것은 그 렌즈의 한계로 아무리 더 열고싶어도 그 이상 밝게 열수 없음을 의미한다.
F5.6 과 F8은 한눈금 차이이지만 구경의 넓이는 두배가 되고 빛의 통과량이 두배가 됨을 의미한다.
적절한 노출을 얻으려면 적절한 조리개와 셔트스피드가 잘 조합되어야한다. 위의 수치들은 조리개의
단계별 눈금수치인데 한단계 숫자가 크게되면 빛의양이 1/2로 감소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셔트스피드를 한단계 느리게 하면 빛의 양은 2배가 된다. 즉 , 조리개를 한단계 작게하는것과 셔트스피드를
한단계 느리게 하는것은 빛의량을 같은크기만큼 변화시키는게된다.
* 적정 노출값이 조리개 f11 에 셔트 1/250초 였다면 조리개 f16으로 한단계조이고 셔트 1/125초로 느리게하면
전체 빛의량은 같으므로 적정노출이 유지된다. 이를 등가노출이라한다.
7. 그러면 왜 이렇게 셔트와 조리개를 복잡하게 만들었을까.
소형 자동카메라는 저런것이 필요가 없다. 컴퓨터에의해 상황별로 잘 조합되어있어 필요한 상황에서
알아서 잘 조절하여 최적의 상황으로 사진을 찍을수있게 해준다. 그러면 되지 않는가 ?
물론 , 대부분의 기념사진이나 인물,풍경사진을 찍는데는 큰 불편함이 없다. 어설픈 수동보다 더 정확하다.
그런데 사진은 빛의 예술이라 부르므로 언제나 같은 빛으로 , 같은 방식으로 모든 사진을 소화하기는 어렵다.
복사기라면 모르지만 빛으로 무언가를 "표현" 하려면 나름대로의 느낌과 욕구가 있을것이고 그것을 표현
하려면 일률적인 빛이 아닌 나만의 빛의 세계를 만들어야한다. 그럴땐 그에맞는 도구가 필요해진다.
* 축구경기의 선수들 사진을 찍는다면 빨리 움직이는 피사체를 찍는다는 뜻인데 , 그러려면 아무래도
움직임이 빠르기때문에 빨리 셔트를 열고 닫아야 된다. 셔트가 열려있는동안 선수와 공이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이다. 움직이는 속도보다 더 빨리 열고닫지않으면 움직임이 찍혀 흔들린 사진으로된다.
* 이때에 , 사람은 정지시킨채로 , 공은 조금 움직이고 있는 느낌으로 찍고싶다든가 , 아니면 공과 사람
모두 정지된채로 찍고싶다든가 ..... 얼만큼의 움직임으로 찍을것인가 나름대로 미세한 조절이 필요해진다.
셔트스피드의 미세한 조절에 따라 사진의 느낌은 많이 차이가 나게된다.
'취미생활~~ > DSL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부산갈매기님 그리고 경상방횐님들~~ (0) | 2010.09.27 |
---|---|
[스크랩] 사진상식 - 렌즈에관한 이야기(1) - 종류 (0) | 2010.09.07 |
[스크랩] 사진상식 - 카메라의 종류 (0) | 2010.09.07 |
[스크랩] 사진상식 - 렌즈에관한 이야기(2) - 심도/촛점과 부가기능 (0) | 2010.09.07 |
[스크랩] 사진상식 - 셔트와 조리개의 활용 (0) | 2010.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