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사진기는 대상물에 반사되어 오는 빛을 렌즈를 통해 상을 맺게하여 그 상을 저장하는 장치이다.
빛을 저장하는 방법에따라 "필름"을 사용하는 필름카메라와 "CCD/CMOS"같은 반도체소자에 기록하는
디지탈카메라로 구분될수있다. 두가지 모두 장단점이 있어서 어느것이 절대 우월하다고 말하긴어렵다.
2.카메라는 렌즈와 구도를 미리보는 뷰 파인더가 별개로 동작하는것과 일체형이있다.
렌즈와 뷰파인더가 별도로 장착되어있어 눈이 두개라 불리는 이안반사형 카메라는 보통 소형의 자동이
많은데 장점이라면 밝아서 구도를 보기 편하다는것이고 단점이라면 렌즈와 보는창이 떨어져있어
가까울수록 실제 찍히는 사진과 구도와 모양이 다를수도 있다는것이다.
이에비해 일안반사식(눈이 한개)은 렌즈만 있고 구도는 렌즈로 들어오는 상을 프리즘을 이용하여 직접
보는 형태이다. SLR 카메라 라고 불리는 이 방식은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가격이 대체로 비싸지만
실제 찍히는 그대로를 볼수있는 장점을 갖고있다.
* 요즘의 디지탈 카메라는 뷰파인더가 비디오 캠코더처럼 모니터만 있고 뷰파인더가 없는 경우도 많다.
3.보통의 일반 카메라들은 렌즈가 붙박이 형식인데비해 SLR 카메라는 렌즈교체가 가능하다.
일반 자동카메라의 경우 렌즈는 고정되어 생산되므로 3배줌 , 10배줌 ... 형식으로 불리게된다.
SLR의 경우 렌즈는 처음부터 옵션사양이다. 즉,카메라를 살때 렌즈가 아예없다. 필요한 렌즈를
구입해서 사용하라는 뜻이다. 사람마다 사진찍는 특성이 다르므로 어떤 렌즈를 달아서 사용하느냐
하는것은 전적으로 본인 마음이다.
4.일반 소형 카메라는 모든것이 자동인데 비해 SLR의 경우 수동조작도 가능하다.
자동카메라는 배달시켜먹는 피자라고 한다면 SLR은 배달피자도 가능하고 손수 재료를 사다가
자기입맛대로 만들어 먹을수있는 조리기구도 갖추고있다.
하지만 손수 만들어 먹으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있어야되고 타고난 손맛도 필요하다.
어설픈 솜씨로 만들면 배달피자보다 훨씬 형편없는 결과가 될수도있다.
비싼 카메라를 사면 사진이 멋지게 나올거란 생각은 마치 이태리제 고급 싱크대를 들여놓으면
저절로 멋진 요리가 나올거란 생각과도같다. 다만,특별하게 멋있는 요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특별한 조리기구가 필요하기도 할것이다. ( 물론 내가 최고의 요리사 일때 )
5.장비와 사진
자동카메라로 찍든 고급 카메라로 찍든 중요한것은 결과물인 "사진"이다.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는 음식맛이란 조리도구가 아니라 음식이다. 그 음식을 만드는 조리기구를 자랑하는것이 절대
아닌것이다. "이태리제 싱크대에서 만든 음식입니다! 그러니 당신은 맛있어야 되는거요!"
그렇게 말한다면 그건 3류 코미디다.
어떤 장비로 찍든 , 사진은 그 사람의 식견,인품,재능,노력의 결과로 나타난다. 비싼 장비를 주렁주렁
달고 다니면 잘찍을거란 생각은 전혀 근거가없다.
6.좋은 장비에 관심갖기보다 좋은 사진에 관심이 더 많은 동호회원들이 되시길 바랍니다.
D345 동호회는 장비로 사진가를 평가하지 않습니다. 필름이든 , 자동카메라건 , 심지어
일회용 카메라 라도 괜찮습니다. 사진을 찍고싶은 분들은 다 환영합니다.
* 인터넷에 공개된 카메라의 원리 - 시간날때 찬찬히 보십시오.
'취미생활~~ > DSL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진상식 - 렌즈에관한 이야기(1) - 종류 (0) | 2010.09.07 |
---|---|
[스크랩] 셔트와 조리개 (0) | 2010.09.07 |
[스크랩] 사진상식 - 렌즈에관한 이야기(2) - 심도/촛점과 부가기능 (0) | 2010.09.07 |
[스크랩] 사진상식 - 셔트와 조리개의 활용 (0) | 2010.09.07 |
[스크랩] 사진상식 - 노출에 관하여 (0) | 2010.09.07 |